한때 만화에서나 보던 장면이 현실이 되었죠.
도로 위를 스르르 움직이는 전기차, 스스로 차선을 바꾸는 자율주행차.
이 멋진 기술의 뒤에는 무엇이 있었을까요?
바로 STEM 교육입니다.
그리고 오늘은, 그 이야기를 들려드릴게요.
(STEM: 과학(Science), 기술(Technology), 공학(Engineering), 수학(Mathematics))
1. 전기차 시대를 연 건 배터리가 아니라 수학이었다
전기자동차가 꿈이 아닌 일상이 된 건 단순히 배터리 용량이 늘어서가 아닙니다.
그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고,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며, 차량의 주행 거리와 성능을 극대화하는 알고리즘—
이 모든 것이 수학과 공학의 언어로 구현되었습니다.
- 테슬라의 BMS (Battery Management System)
복잡한 수학 모델과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터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계산하고 예측합니다. - 현대차의 EV 전용 플랫폼 E-GMP
전자공학, 기계공학, 재료공학의 융합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일입니다.
이 모든 기술을 설계하고 구현한 사람들, 누구일까요?
바로 STEM 교육을 받은 연구자, 엔지니어, 개발자들이죠.
2. 자율주행은 똑똑한 수학의 예술이다
자율주행차는 끊임없이 판단하고 움직입니다.
이때 쓰이는 기술들은 대부분 수학, 컴퓨터 과학, 공학의 결정체입니다.
- 센서 융합(Fusion)
카메라, 라이다, 레이더에서 들어오는 데이터를 통합하고 정리하는 작업은 고급 통계학과 프로그래밍 지식이 필요합니다. - 경로 계획(Path Planning)
AI와 머신러닝, 수리 최적화 모델을 활용해 “가장 안전하고 빠른 길”을 계산하죠. - 인식 기술(Perception)
물체를 인식하고 분류하는 기술은 영상처리 알고리즘과 수학적 패턴 분석 기술이 핵심입니다.
이 복잡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려면?
기초부터 탄탄한 STEM 기반 학습 경험이 필수입니다.
3. STEM 교육이 낳은 자율주행 기술자들
놀랍게도 많은 자율주행 기술자들은 어린 시절 STEM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.
- MIT CSAIL 소속 연구자 중 45% 이상이 K-12 STEM 아카데미 출신이라는 보고도 있습니다.
- 테슬라와 구글 웨이모의 주요 연구자들 역시 대학 이전에 수학경시대회, 로봇공학 대회 등 STEM 기반 활동에 참여한 이력이 있습니다.
이들이 어릴 적 “로봇을 만들어 본 경험”, “프로그램을 처음 짜 본 기억”이,
지금 우리가 타는 미래차를 가능하게 만든 것이죠.
“아이에게 전기차를 사줄 순 없지만, 전기차를 만들게 할 순 있다”
STEM 교육은 단지 성적을 올리는 공부가 아닙니다.
그것은 아이가 미래를 바꾸는 설계자가 되는 첫걸음입니다.
“자율주행이 과학이라고요?”
맞습니다. 그리고 과학은, 배우면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이기도 하죠.
미래를 움직이는 아이들을 만들고 싶다면,
지금 바로 그 손에 STEM 키트를 쥐어주세요.